월세·고물가로 인해 1인 가구도 생활이 어렵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이 공개한 ‘최근 1인 가구 확산의 경제적 영향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가구원 수별 2019~2023년 평균소비성향(소비지출/가처분소득) 변화 조사에서 1인 가구의 감소율이 5.8%(0.78→0.74)로 가장 높았다고 한다.
이어 △3인 가구 -4.3%(0.69→ 0.66) △2인 가구 -2.5%(0.71→0.69) △5인 이상 -1.8%(0.77→0.76) △4인 가구 -0.5%(0.74→0.73) 순으로 소비 위축의 정도가 심했다.
1인 가구의 평균소비성향 악화는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을 거치면서 오른 주거비가 주요 요인이라고 한다.
코로나19 정국에는 물가상승을 최대한 억제하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코로나19가 끝난 이후에는 공공요금을 비롯한 거의 대부분에서 가격이 상승하다보니 1인 가구도 버티기가 힘들어 진 것이다.
1인 가구의 지출 가운데 지난해 기준으로 월세 등 주거·수도·광열비 비중이 평균 20%를 넘은 가운데 코로나19 이후 지속적으로 월세 수준도 높아지면서 청년층 1인 가구의 소비 역시 제약하고 있다.
아무래도 가구 구성원이 단독이다보니 모든 경제적 부담을 혼자 짊어져야 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더욱이 청년도 성인이기 때문에 부모님에게 의존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
고령층 1인 가구도 코로나19 경제 충격 당시 임시·일용근로 일자리가 크게 줄어 들고 있다.
더욱이 ‘상흔(상처) 효과’가 상당 기간 이어지면서 소비를 줄이고 있다.
아울러 코로나19 이후 급등한 생활물가, 다른 가구원들과 경제 충격을 분담하기 어려운 1인 가구의 구조적 특성 등도 소비성향 약화의 요인으로 거론됐다.
전체 소비 지출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약 20%에 달하는 상황에서 이들의 소비 위축은 우리나라 전체 소비 회복까지 구조적으로 제약하고 있다는 게 한국은행의 분석이다.
바꿔 말하면 기존 소비 패턴으로는 월세 내기도 힘든다는 말이 된다.
즉 월세때문이라도 소비를 줄일 수 밖에 없다.
청년층 1인 가구의 주거비 부담 해소를 위한 주거 안정 대책 마련과 함께, 고령층 1인 가구는 열악한 고용·소득 문제를 해결하는 빈곤 대책이 우선 실행돼야 한다.
<저작권자 ⓒ 전북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