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범죄예방을 위한 자율순찰로봇이 등장했다.
최근 전북특별자치도 자치경찰위원회는 내년 도입을 목표로 자율순찰로봇 현장 시연을 가졌다.
자율순찰로봇을 CCTV 설치가 어려운 장소에서 운행하게 함으로써 범죄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한다는 것이다.
로봇이 길에 쓰러져 있는 술에 만취한 행인을 발견하면 비상경고음 또는 관제센터에 신호를 보내는 방식으로 운행된다고 한다.
연구 책임자인 박종승 전주대학교 교수는 “이번 프로젝트는 전주 천변을 비롯해 방범 시설이 미비한 지역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시도”라며 “특히 심야 시간대에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라고 기대감을 높였다.
시범 운영 등을 통해 천변은 물론 초등학교 주변, 원룸 밀집 지역 같은 치안 취약지로도 확대 배치된다고 한다.
로봇이 등장한 배경에는 몇 달 전 천변에서 여성을 상대로 한 범죄와도 무관하지 않다.
여기에 대학가 원룸 부근에서도 범죄 발생률이 늘고 있다.
당시 범인은 경찰에게 붙잡히긴 했다.
문제는 범죄가 발생한 장소에는 CCTV가 설치되지 않는 범죄 사각지대라는 점이다.
이를 통해 이 같은 사태를 미연에 방지한다는 것인데 과연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물론 어느 정도 순기능은 분명 있다.
실제로 자율순찰로봇을 통해 범죄예방에 효과를 보고 있다는 지역이 있다는 사례도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인간을 상대로 자율순찰로봇이 어디까지 대응할 수 있을까?
자율순찰로봇이 범행장소를 발견하는 동시에 경고음이나 신호를 관제센터에 보낸다고는 하지만 경찰이 얼마나 빨리 도착할 수 있느냐다.
아무리 경고음이나 신호를 보낸다고 해도 범행장소에 늦게 도착하면 무의미하다.
범행은 그야말로 한 순간에 발생한다.
어느 정도는 경고음 등이 들리면 범인이 놀라 도망갈 수도 있겠지만 상대는 사람이 아닌 로봇이다.
쉽게 말해 로봇이 있어도 망설임 없이 범죄를 저지를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파손을 시킬 가능성도 있다.
자율순찰로봇을 도입하려는 취지는 공감한다.
그러나 범죄예방을 할 수 있을지는 지켜볼 일이다.
<저작권자 ⓒ 전북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