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14개 시·군 중 ‘2번 이상’지원금 지급한 지자체도 6곳
지역화폐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급… “선심성 행정”비판 여론도
전주 0원·진안 40만원… 재난지원금 양극화 현상 ‘뚜렷’
도내 14개 시·군 중 ‘2번 이상’지원금 지급한 지자체도 6곳
지역화폐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급… “선심성 행정”비판 여론도
온라인편집팀 | 입력 : 2022/01/23 [18:43]
도내 기초 시·군이 앞다퉈 전 주민에게 지급하는 재난지원금의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다.
도내에서 가장 많은 재난지원금을 지급한 곳은 진안군이다.
진안군은 지난해 말 전 군민 2만4,000여 명에게 10만원씩의 재난 기본소득지원금을 지급했다.
군은 세 차례에 걸쳐 1인당 40만원을 지원했다.
정읍시도 설 명절 전에 모든 시민에게 10만원씩의 3차 재난 기본소득 지원금을 지급한다.
전 시민을 대상으로 한 지원은 지난 2020년 5월과 지난해 1월에 이은 세 번째다. 1인당 30만원이 지원된다.
익산시는 모든 시민에게 10만원의 재난 기본소득을 지급한다.
지난해(1인당 10만원)에 이어 두 번째다.
이밖에 장수(15만원), 완주(15만원), 부안(10만원), 김제(10만원) 등도 이미 지급했거나 지급할 예정이다.
도내 14개 시·군 가운데 모든 주민에게 두 차례 이상 재난지원금을 지급한 지자체는 6곳으로 집계됐다.
반면 전주시는 저소득층, 버스·택시 기사 등에게 선별 지원을 했지만, 전 시민을 대상으로 한 지원금 지급 계획은 없다.
해당 지자체들은 지역 경제 활성화 차원이라고 입을 모으지만, 앞다퉈 지역화폐, 선불카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재난지원금을 주면서 “지방선거를 앞두고 선심성 행정이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일고 있다.
재선을 준비 중인 한 지자체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2년 넘게 지속하면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한계상황에 처해 있다”며 “선거와는 무관하고 소비지출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북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