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라이즈(RISE) 대전환 막바지 구슬땀
[기획]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 밑그림… 인구 소멸 위기 극복전북특별자치도, 라이즈(RISE) 대전환 막바지 구슬땀
출산율 감소는 곧 학령인구 감소로 이어지면서 도내 대학들도 존폐 위기에 처했다.
이에 교육부는 대학의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단행, 위기극복대안으로 글로컬 30과 함께 라이즈(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제)카드를 들고나왔다.
이 같은 교육부 방침에 따라 지난해에는 전북대학교가, 올해는 원광대학교가 글로컬 30에 각각 선정돼 라이즈 지원체계가 본격화됨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역시 라이즈(RISE)로의 고등교육 대전환에 나섰다.
라이즈는 지역 인재를 육성, 지역에 정착할 수 있게 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대학재정지원사업으로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짚어본다. /편집자 주
라이즈는 기존 교육부 주도로 추진되던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지역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대학의 평생교육 지원체제(LiFE) △고등직업교육혁신지구(HiVE) △지방대 활성화 등 대학재정 지원 사업을 연계·통합해 지자체가 시행 주체가 되는 지역주도형 고등교육 지원체계다.
지역을 가장 잘 아는 지자체와 지역의 인적·물적자원의 집약체인 대학이 협력적 동반관계를 구축해 지역의 혁신과 발전을 선도하는 것이 뼈대다.
도는 이를 통해 ‘글로벌생명경제도시’ 비전 실현을 앞당기겠다는 복안이다.
특화자원의 생명산업화를 통해 생명산업(농생명산업 고도화, 의생명산업거점화, 청정에너지 산업진흥, 생명서비스·웰니스산업진흥)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기존 산업의 대전환을 통해 전환산업(첨단소재 융복합화, 친환경 모빌리티 미래화, 국제문화산업 거점 조성, 디지털 산업 육성)을 진흥함으로써 도민 행복을 증진시키겠다는 것이다.
전북도, ‘글로벌 생명경제도시’실현 위해 지역대학과 협력
도는 지역 정주형 인재 양성, 지산학연 협력 생태계 구축, 직업·평생 교육의 혁신, 지역 현안 해결 등 성과목표 달성을 위한 4대 프로젝트 12대 과제를 도출했다.
먼저, 8대 생명·전환산업의 혁신의 불꽃을 틔우겠다는 ‘JB-SPARK’ 프로젝트다.
지산학 연계 교육과정 운영, 학생 취업역량 강화, 산업체 수요 맞춤형 기술 매칭 프로그램 등을 통해 생명·전환산업의 특성화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기존 RIS에서 3대 분야(미래수송기기, 에너지신산업, 농생명·바이오)에 한정해 운영했던 ‘JST 공유대학’을 8대 산업으로 확대해 지역기업이 실제 필요로 하는 연구개발(R&D)을 지원하게 된다.
두 번째 프로젝트는 ‘지역에 뿌리내리는 인재 양성’을 통한 지역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사업, ‘JB-ROOT’ 프로젝트다. ‘JB-SPARK’ 프로젝트에서 신산업, 미래산업에 초점을 뒀다면 ‘JB-ROOT’프로젝트에서는 기존 산업에 집중한다.
지역 산업의 수요를 반영해 현장 실무형 인재를 양성해 지역 정주인구를 키운다.
대학생들의 아이디어와 지역기 업의 수요를 연계하기 위한 공간-프로그램-투자연계 등 창업·창직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세 번째 프로젝트는 ‘평생교육 가치 확산’, ‘JB-EverLearn’이다. 라이즈의 대상은 젊은 학생들뿐만 아니라 중장년층도 포함된다.
이들은 청년층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그 지역에 남아 있을 정주민들이며 기대수명 연장에 따라 은퇴 후에도 다시 노동시장의 문을 두드려야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도는 이들을 대상으로 대학과 평생학습을 연계해 중장년층에게 재취업, 직업전환교육 등 대학교육의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기초지자체와 협력해 지역 내 특화분야를 선정, 이에 맞춰 대학이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지역기반 고등직업교육의 거점 역할을 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마지막 프로젝트는 ‘동행협력 지역발전’, ‘JB-TEAM’ 프로젝트다.
지역과 대학이 한 팀이 돼 인구 문제, 지역 상권, 지역 문화, 지역 환경 등 지역이 당면한 다양한 의제에 대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한편 지역의 매력적 문화 발굴을 통해 새로운 지역 명소로 조성할 계획이다.
특성화고 등 직업계고와 산업, 지역 대학을 연결해 고교생들의 지역정착도 적극 도울 예정이다.
도는 기본계획을 토대로 구체적인 시행계획도 마련 중이다.
시행계획에는 단위과제별 RFP(공모제안서), 예산액, 평가 기준 등이 담긴다.
지역 대학을 대상으로 한 ‘라이즈 공모’의 가이드라인이 되는 것이다.
라이즈 공모는 교육부 예산안이 확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2월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달 22일 시도 및 대학 관계자를 대상으로 예산 배분(안)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한 바 있다.
이를 토대로 의견을 수렴해 조만간 예산 배분 기준을 확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지산학 동반성장을 통한 인구 소멸 위기 극복 및 지역 발전 견인
박현규 특별자치교육협력국장은 “라이즈 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전북연구원 용역, 6개 분과 76명의 수립위원회 운영, 대학 및 산업계 공청회 및 간담회, 대학 총장 간담회 등 대학과 기업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해 왔다”면서 “앞으로 지역발전계획 및 지역산업육성 방향에 부합하는 라이즈 추진을 통해 인재양성-기업유치-취창업-지역정주로 이어지는 지역 발전 선순환 체계를 탄탄히 구축함으로써 인구 소멸 위기를 극복,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북특별자치도가 교육부 로드맵에 맞춰 다음 달까지 ‘라이즈(RISE)기본계획’을 확정하는 가운데 RISE는 올해까지 시범 운영 후 내년에 전국에 도입될 예정임에 따라 학령인구 감소로 존폐에 빠진 대학들의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지 주목되고 있다. /나연식 기자 meg7542@nate.com
<저작권자 ⓒ 전북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