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후보자 “AI·양자·바이오 등 주요 과제, 세계적 주도권 갖도록 노력” 차관급 3명 임명… 민주평통 사무처장에 태영호 중기차관 김성섭·국무2차장 남형기 승진 기용 윤 대통령, 과기부 장관에 유상임 지명유 후보자 “AI·양자·바이오 등 주요 과제, 세계적 주도권 갖도록 노력”
|
윤석열 대통령은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로 유상임 서울대 교수를 지명했다.
정진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발표했다.
유 후보자는 미국 아이오와주립대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지난 1998년부터 서울대 교수로 재직하며 신소재 공동 연구소장을 역임하는 등 재료공학 분야 원천기술 개발과 연구를 이어왔다.
정 실장은 “대학에서 미래 연구자 양성에 매진하면서도 초전도 저온공학회, 세라믹 학회 등에서 학회장으로 활동했다”며 “또 연구·개발(R&D) 정책과 사업에 다수 참여하는 등 정부, 산업계, 학계 등과의 소통 경험도 풍부하다”고 말했다.
정 실장은 또 “과학기술 분야에서 오랜 연구 경험과 경륜을 바탕으로 R&D 시스템 혁신을 비롯해 첨단 기술 혁명의 대전환기에 있는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을 강력히 이끌어 갈 적임자”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또 일부 차관급 인사도 단행했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에 태영호 전 국민의힘 의원, 중소벤처기업부 차관에 김성섭 대통령실 중소벤처비서관, 국무조정실 국무2차장에 남형기 국무조정실 국정운영실장을 각각 임명했다.
태 신임 사무처장은 북한 외무성에서 외교관으로 근무하다가 한국으로 망명한 탈북민 출신으로 제21대 국회의원으로 외교통일위원회에서 활동했다.
김 차관은 현 정부 출범 시작부터 중소벤처비서관으로 재직했으며, 경제학 박사 출신으로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점이 발탁 배경으로 꼽혔다.
남 차장 역시 현 정부 출범부터 국조실 국정운영실장으로 재직하며 국정 철학에 대한 이해가 깊고, 다양한 정책을 조율한 경험을 갖췄다고 대통령실이 설명했다.
한편 유 후보자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지명 직후 브리핑을 통해 “인공지능(AI), 양자, 바이오 등 현 정부가 추진해온 주요 주제에서 세계적 주도권을 가져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진입해서 급격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분야에 적절히 대응함은 물론 우리나라가 선도할 수 있도록 혼신의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유 후보자는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에 대해서는 “국가 R&D 예산은 한정돼 있어 선택과 집중을 해야만 한다”며 “그러나 과학기술계의 입장에서는 소통이 부족했다는 의견이 많이 있고, 그런 차원에서 폭넓게 소통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R&D에 꼭 필요한 예산이 무엇인지를 돌아보고 또 각 기관에 소속된 분들과 그 적절성을 다시 한번 들여다보면서 이 문제를 지혜롭게 풀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